본문 바로가기

끄적대기

OSI 모형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728x90
반응형

˙OSI 모형

 ▷ OSI 모형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로, Network Protocol Design과 통신 계층을 나누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는 OSI 7 Layer라고 이야기한다. 주로, Protocol을 기능 단위별로 나누어 두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하위 계층의 기능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전달하는 목적이다. 즉, 하위 계층은 HardWare적으로, 상위 계층은 SoftWare적으로 동작한다.

 

˙OSI 7 Layer

 ▷ 1 Layer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Network의 HardWare 전송 기술로 구성되었으며,Network의 높은 수준의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논리 데이터 구조를 기초로 하는 필수 계층이다. 가장 기초적인 계층이지만, 다양한 HardWare 기술들이 접목되어 있어 가장 복잡한 계층이다.

 

 ▷ 2 Layer :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Point-to-Point 간 신뢰성 있는 요청(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각 Point 단위별로 요청(데이터)을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탐색한다. 또한, 수정에 필요한 기능적인 수단을 제공

 

 ▷ 3 Layer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여러 개의 Node를 경유할 때마다 해당 경로를 탐색 및 지정하여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여러 가지의 다양한 길이의 요청(데이터)을 Network를 통하여 전달한다. 해당 과정에서 이후 전송 계층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라우팅과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4 Layer :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시작과 끝 Node에 존재하는 Client가 신뢰성 높은 요청(데이터)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계층으로, 상위 계층들이 별도로 요청(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또는 효율성 등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도록 지원한다. 특정 연결의 유효성을 제어하고, Packet들에 대하여 전송 유효성 검토를 체크한다.

 

 ▷ 5 Layer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양 끝단의 Process들이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계층으로, Duplex(동시 송수신), Half-Duplex(반이중)*, Full-Duplex(전이중)* 통신을 지원한다. 더불어, 유휴, 종료, 재시작 등에 대한 과정도 지원하면서, TCP/IP Session을 지원한다.

 

 ▷ 6 Layer :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코드 간의 번역을 지원하고, Client System에서 요청(데이터)의 형식상의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지원하는 계층으로, 사용자의 명령어를 완성하고 결과를 표현하며, 포장 및 압축, 암호화 등에 대한 부분을 지원한다.

 

 ▷ 7 Layer :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응용 Process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Server를 수행하는 계층으로, 일반적인 Service는 관련된 Process들 사이의 전환을 제공한다. 주로, Network SoftWare UI 및 User Input/Output을 담당한다.

 

 

 

 * Half-Duplex(반이중) : 두 개의 통신 요소가 각각의 방향으로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지만,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

 * Full-Duplex(전이중) : 두 개의 통신 요소가 동시에 통신이 가능한 방식으로, 송신하면서 수신이 가능

728x90
반응형

'끄적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Process)와 스레드(Thread)  (0) 2022.03.24
DBMS = DDL + DML + DCL + TCL  (0) 2022.03.24
TCP(Transmission Control) vs UDP(User Datagram)  (0) 2022.03.24
소켓 프로그래밍(Socket Programing)  (0) 2022.03.24
Web Application  (0) 2022.03.24